소크라테스 (Socrates ; BC 469 ~ BC 399 )는 고대그리스의 철학자로 아테네 출생이다. 그의 아버지 소프로니스코스는 석조가(石彫家)였다고 하나 확실하지 않으며, 어머니 파이나레테는 산파술(産婆術)에 능했다고 한다.
소크라테스는 두 눈이 튀어나왔으며, 코는 짜부러진 사자코로 용모가 매우 추했다고 한다.
어린시절부터 <다이몬(禁止)의 소리>를 듣고, 자주 깊은 몰아상태를 경험하는 <신들린 사람>이었다고 한다. 만년에는 후대에 악처로 유명했던 크산티페와 결혼하였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들은 우리가 지금 생각하는 철학자와는 달리 자연 법칙이나 우주에 대해 더 많은 호기심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소크라테스는 그러한 관심을 인간 자신과 자신의 근원에로 돌려 자기 자신의 '혼(魂:psych )'을 소중히 여겨야 할 필요성을 역설하였으며, 자기 자신에게 있어 가장 소중한 것이 무엇인가에 관심을 기울여, 아테네의 거리와 시장·체육관 등에서 대화와 문답을 하면서 지냈다. 그는 책도 쓰지 않았다.
소크라테스가 알려진 것은 그의 제자 플라톤에 의해서 이다. 플라톤의 책을 보면 소크라테스가 사람들을 붙잡고 '용기란 무엇인가?', '지혜란 무엇인가?' 하는 식으로 끊임없이 질문을 던져 사람들을 곤란하게 만드는 장면들이 나온다. 이것을 '문답법', 혹은 질문에 질문을 거듭하여 마침내 바른 결론을 이끌어 내는 과정을 출산에 비유해 '산파법'이라고도 한다. 소크라테스는 사람들이 알고 있는 듯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알지 못하는 것을 이러한 문답을 통해 드러내보이기도 한다. 그렇게 해서 '그렇다면 진짜 그것은 무엇일까?' 하는 질문을 스스로 불러 일으키게 하려고 했다. 즉, 자신이 무지하다는 것을 우선 인식시킴으로써, 진정한 지식에 대한 욕구를 불러일으키는 것이 소크라테스의 참다운 목적이었다
이러한 대화를 통해 자신의 무지를 폭로 당한 사람들은 때로는 소크라테스의 음흉한 수법에 조롱 당했다고 느끼고 분노하였다. 그래서 당시의 유력자들에 의해 기소를 당하게 된다. 죄명은 '젊은이들을 타락시키고, 아테네의 신을 부정했다.'는 것이었다. 그 재판 과정을 쓴 것이 [소크라테스의 변명]이다. 소크라테스의 추종자들은 소크라테스에게 죄목을 인정하고 국외추방을 받아들여 후일을 기약하자는 권고를 하지만 소크라테스는 '악법도 법이다'라는 명언을 남기고 사형을 결정한 재판을 받아들여 독이든 술을 마시고 죽게 된다.
그의 재판 모습과 옥중 및 임종장면은, 제자 플라톤이 쓴 철학적 희곡(플라톤의 대화편) 《에우티프론(Euthyphron)》 《소크라테스의 변명》 《크리톤》 《파이돈》 등 여러 작품에 자세히 그려졌다. 죽음 앞의 평정청랑(平靜淸朗)한 그의 태도는 중대사에 직면한 철학자의 진면목을 보여준다.